1. 기초 정리
Linux 2016. 4. 19. 01:03평소 실무에서도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했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root
사용자의 권한을 얻어서 작업한다.
[Linux 명령어]
* 디렉토리 : Unix,Linux에서 말하는 폴더라는 개념이다.
pwd : 현재 디렉토리 보여준다.
ls : 파일 확인하기
cat a Tab버튼 : 파일 내용 출력
cd :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
systemctl restart network : 네트워크 재시작
ifconfig : 네트워크 확인
su - : root 권한을 얻기위함 (프롬프트가 $에서 #으로 바뀐다.)
clear : 전체화면 깨끗이
시스템 종료
poweroff, shutdown -P now, halt -p, init 0
ex)
shutdown -P +10 : 10분 후에 종료
shutdown -r 22:00 : 오휴 10시에 재부팅
shutdown -c : 예약된 shutdown을 취소
shutdown -k +15 : 현재 접속한 사용자에게 15분 후에 종료된다는 메세지를 보내지만
실제로 종료는 안된다.
시스템 재부팅
shutdown -r now, reboot, init 6
로그아웃
logout, exit
가상콘솔(가상의 모니터)
- CentOS는 총 6개의 가상콘솔을 제공한다.
- Ctrl + Alt + F2,F3 을 눌러서 가상콘솔로 이동할 수 있다.
Run Level
- init 뒤에 붙는 숫자를 Run Level이라고 한다.
- 리눅스는 시스템이 가동되는 방법을 7가지 런레벨로 나눌 수 있다.
런레벨 |
영문 모드 |
설명 |
비고 |
0 |
Power Off |
종료 모드 |
|
1 |
Rescue |
시스템 복구 모드 |
단일 사용자 모드 |
2 |
Multi_User |
|
사용하지 않음 |
3 |
Multi-User |
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|
|
4 |
Multi-User |
|
사용하지 않음 |
5 |
Graphical |
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|
|
6 |
Reboot |
|
|
vi Editor에서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기
Key |
설명 |
Key |
설명 |
i |
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입력 |
l |
현재 커서 줄의 맨앞에서부터 입력(Shift + l) |
a |
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 |
A |
현재 커서 줄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(Shift + A) |
o |
현재 커서의 다음 줄에 입력 |
O |
현재 커서의 이전 줄에 입력(Shift + O) |
s |
현재 커서 위치의 한 글자를 지우고 입력 |
S |
현재 커서의 한 줄을 지우고 입력(Shift + S) |
vi Editor 명령모드에서 커서 움직일때
키 |
설명 |
키 |
설명 |
h |
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 |
j |
커서를 아래 한 칸 이동 |
k |
커서를 위로 한 칸 이동 |
l |
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|
ctrl+F |
다음 화면으로 이동(Page Down) |
ctrl+B |
이전 화면으로 이동 |
^ |
현재 행의 처음으로 이동(Home) |
$ |
현재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(End) |
gg |
제일 첫 행으로 이동 |
G |
제일 끝 행으로 이동 |
숫자G |
해당 숫자 행으로 이동(숫자 다음 shift+G) |
:숫자 Enter |
해당 숫자의 행으로 이동 |
명령모드에서 삭제,복사,붙여넣기
키 |
설명 |
키 |
설명 |
x(소문자) |
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자 삭제 |
X(대문자) |
현재 커서가 위치한 앞 글자 삭제(<-) |
dd |
현재 커서의 행 삭제 |
숫자 dd |
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삭제 |
yy |
현재 커서가 있는 행을 복사 |
숫자 yy |
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을 복사 |
p (소문자) |
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후에 붙여 넣기 |
P(대문자) |
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전에 붙여넣기 |
문자열 찾을 때
키 |
설명 |
키 |
설명 |
/문자열 Enter |
해당 문자열을 찾음(현재 커서 이후) |
n |
찾은 문자 중에서 다음 문자로 이동 |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드링크와 심볼릭(소프트)링크 (0) | 2016.04.20 |
---|---|
inode 개념 (0) | 2016.04.20 |
기본 명령어 (0) | 2016.04.19 |
리눅스 개요,파티션 (0) | 2016.04.19 |
기본 명령어 (0) | 2015.05.15 |